먼저, 저는 이 분야 전문가가 아니며 이 글은 그 동안 전동킥보드를 타면서부터 관심을 갖아온 배터리에 대한 내용을 바이크 라이더 입장에서 정리한 것입니다.
제너레이터
Q1. 바이크 배터리는 뭐죠?
- 차량 시동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각종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Q2. 바이크 배터리 사양은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나요?
- 일반적으로 12V 12Ah 납축전 배터리(연축전지)를 사용합니다. (배기량에 따라 많이 달라집니다.)
- 일반적인 바이크의 전력 소비량
1) 전조등+후미등+잡등 : 약75W=약 6.5Ah (킴코 익사사 순정 제품의 경우입니다. 바이크 종류마다 틀릴 수 있습니다.)
2) 휴대폰 충전 : 1~2Ah
3) 블랙박스 : 0.3 ~ 1Ah
* 상기 전기 제품들의 총 전력 소비량 : 약 8.0Ah ~ 9.5Ah
* 추가로 전류를 많이 소모하는 스피커등의 전기 소모 제품을 주렁 주렁 달면서 12Ah 배터리 쓰면 배터리가 조기 사망할겁니다.
Q3. 배터리는 수명은 어떻게 되나요?
- 일반적으로 무리 없이 사용 시 겨울을 두 세 번 날 수 있습니다. (평균 3년)
Q4. 날씨에 따른 배터리 효율은 어떤가요?
- 여름철은 80~90%이고 겨울철에는 40~60%입니다.
- 즉 12Ah 짜리 배터리의 효율은 여름철에는 9.5Ah~11Ah 정도이며, 겨울철에는 5Ah~7.5Ah 정도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Q5. 바이크 시동에 필요한 배터리 전압은?
- 바이크 시동 시 필요한 전압은 11.5v~11.9v이며 배터리 전압이 10.5v 이하로 내려가면 그 배터리는 사망한 것으로 교체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Q6. 운행 중 전원 공급과 배터리 충전은 어떻게 되나요?
- 제너레이터가 13.5v 정도의 교류 전압을 발생시키고 레귤레이터(/렉티파이어)가 이를 바이크 전기 제품에 필요한 직류로 바꾸어 공급합니다.
- 제가 킴코 본사 기술자에게 익사사 제너레이터가 생성하는 전류량을 문의하였지만 잘 모른다고 하네요. 아마 최소 10A 이상이 아닐까 추측해 봅니다. (바이크의 전력 생성량이 전기 제품들의 요구 전력량보다 적으면 배터리의 전류를 사용해야하므로 배터리가 금방 방전될 수 있겠죠.)
Updated) 킴코 익사사 제너레이터 생산 전력량은 300Watt 입니다.
- 운행 중 충전 방식 : 제너레이터/얼터네이터 --> 레귤레이터 --> 배터리
Q7. 배터리 자기 방전은 어느 정도인가요?
- 바이크를 오래 주차해놓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터리 내부에서 화학작용이 진행되어 자기 방전이 됩니다. 또한 노후 정도에 따라서도 자기 방전 량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하루에 용량의 0.2~1.0%정도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완전 충전된 배터리는 15℃에서 약 4개월 정도면 완전 방전되고, 40℃에서는 약 2주정도 지나면 완전 방전된다고 합니다.
배터리 최고의 효율은 충.방전 모두 25도씨 정도에서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 한 번 완전 방전된 배터리의 수명은 급격히 줄어들 수 있습니다.)
Q8. 바이크 배터리 오래 사용하는 방법
- 일제 > 국산 > 중국산 순으로 배터리가 좋습니다.
- 가급적 겨울에는 실외보다는 실내 주차를 권합니다.
- 날씨와 배터리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겨울에는 한 달에 최소 한 번 정도는 30분 이상 운행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 킴코 익사사용 순정 배터리 모델은 배터리 액의 점검 및 보충은 필요없다고 합니다.
참고) 킴코 익사사 배터리, 제너레이터 및 레귤레이터 상태 확인
1. 배터리 완충 상태 확인
- 연결선을 -극, +극 순서로 분리 후 멀티미터로 배터리 전압을 재보면 완충 상태에서 13.0~13.2V (20도씨)가 나옵니다. (12.3V 이하면 충전이 필요한 상태)
2. 배터리 충전시 권장 전류
- 1.2A 로 완충시 걸리는 시간은 5~10시간입니다. (급속 충전은 배터리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긴급시에만 사용해야 함)
3. 제너레이터-레귤레이터 정상 작동 확인 방법
1) 엔진을 1~3분 작동시켜서 정상 운행 온도로 올려줍니다.
2) 엔진을 정지시킵니다.
3) 멀티미터의 +극 단자는 배터리의 +극에 멀티미터의 -극 단자는 배터리의 -극에 연결합니다. (반대로 하면 쇼트 남)
4) 헤드라이트를 하이빔에 위치시키고 엔진을 재가동합니다.
5) 엔진이 5000rpm에 도달했을 때 배터리 충전 전압은 14~15V 가 나와야 정상입니다. (그 이하라면 전기 생산 계통의 정밀 검사를 요함)
'오토바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킴코 익사사 엔진오일 점검, 교환 및 필터 교환 (0) | 2019.07.18 |
---|---|
바이크 연비에 영향을 주는 요소 순위 (0) | 2019.07.18 |
타이어 적정 압력을 유지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바이크 관리 (0) | 2019.07.18 |
엔진오일, 뭣이 중한디 (0) | 2019.07.18 |
(단단한) 플라스틱 카울 도색 방법 (0) | 2019.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