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토사이클(바이크) 엔진 오일
엔진오일은 바이크의 심장인 엔진 내부의 피스톤 상하 운동 시 실린더와 벽과의 마찰을 줄여 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엔진 내부에서의 냉각, 밀봉, 방청, 청정 등의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I. 엔진오일 등급
등급을 나누는 협회 : API(미국석유협회), ILSAC(국제윤활유표준화인증기관), ACEA(유럽자동차제조협회)
* 등급은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갈수록 등급이 높고 좋은 엔진오일입니다.
1. API(가솔린 엔진 용) : SA, SB, SC, SD, SE, SF, SG, SH, SJ, SL, SM, SN (SN급이 가장 좋은 것임) * 2017년에 새로운 기준 CK-4 와 FA-4을 발표했으며 둘 다 고속 친환경 등급이라고 합니다.)
- 참고로 제가 넣는 렙솔 스쿠터 4t 5w40 100% 합성오일(15,000원)은 등급이 API SL 등급입니다. 그리고 8,000원에서 10,000원 정도하는 합성유들은 거의 API SJ 등급입니다.
2. ILSAC(승용차 엔진 용) : GF-1, GF-2, GF-3, GF-4, GF-5
3. ACEA(가솔린 용) : A1, A2, A3, A4, A5
II. 엔진오일의 점도
엔진오일의 점도는 SAE(미국 자동차 엔지니어 협회) 기준에 따라 분류합니다.
“등급을 표기하는 방법은 ‘SAE 00W-00’이다. W는 Winter의 약자로 겨울을 뜻하며 W 앞의 숫자는 저온점도지수, 뒤에 숫자는 고온점도지수를 뜻한다. 그렇기 때문에 겨울에 다른 도시들보다 온도가 낮은 강원도 등지에서는 저온점도지수가 낮은 0∼5W-30~40 정도의 엔진오일을 쓰면 좋을 것이고, 일반적으로는 10~15W-30~40 정도의 오일이 좋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처럼 사계절을 포함하는 환경에서는 매 계절 엔진오일을 교체하기 부담스럽다. 이러한 고민을 해결해주기 위해 다급점도유 엔진오일이 있다. 국내 시중에 판매되는 엔진오일은 대부분 다급점도유이다.“ - 정차영
III. 엔진오일의 종류
원유를 정제한 온도에 따라 1기유에서 5기유까지로 나뉩니다. 숫자가 높아질수록 낮은 온도에서 정제된 것이며 더 좋은 품질로 정의됩니다.
1. 광유 :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정제된 기유(base oil), 고온을 잘 견디지 못하고 산화해 슬러지가 많이 생기는 단점이 있습니다.
2. 합성유 : 비교적 저온에서 정제하면서 나오는 기유, 고온에서도 불순물 없이 안정된 역할 수행 (*최상급 엔진오일은 5기유 에스테르 오일은 점도 유지력에서 최상급이나 열에 조금씩 산화하기 때문에 오일량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보충해 주어야 합니다.)
IV. 엔진오일 교환 주기
보통 합성유 기준 5,000km에 한번 씩 교환을 추천한다고 합니다. (단 신차 길들일 때는 1,000km 주행 후 교환)
엔진오일을 자주 교환하는 것이 엔진에는 좋겠지만 경제적인 부담을 무시할 수 없기에 5,000km를 기준으로 운전 습관이나 운전 환경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교환 주기를 조금씩 달리 해주면 된다고 합니다. (*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시내주행이 주면 장거리 위주 주행의 바이크보다 자주 엔진 오일을 교환해 주는 것이 좋다고 하네요.)
* 참고로 제 익사사의 경우는 중.장거리 위주로 운행하는데 SJ급 엔진오일 넣고 3,000에서 SL급 엔진오일 넣고 4,000 정도에서 엔진 소리가 좀 탁해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필링이냐 경제적인 측면이냐...이것이 문제군요. ^^
'오토바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크 연비에 영향을 주는 요소 순위 (0) | 2019.07.18 |
---|---|
알아두면 좋은 바이크 배터리 상식 (0) | 2019.07.18 |
타이어 적정 압력을 유지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바이크 관리 (0) | 2019.07.18 |
(단단한) 플라스틱 카울 도색 방법 (0) | 2019.07.18 |
익사이팅 400 파킹 브레이크 경고등이 안 꺼질 때 해결 방법 (0) | 2019.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