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바이 자가정비에 대한 소고 (익사사 드라이브 벨트)
이 글은 손에 기름 때 묻히는 것 원치 않거나 시간이 금인 분들에게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빅스의 드라이브 벨트의 권장 점검주기는 10,000km이며 교환주기는 20,000km 이며 익사사 또한 그렇습니다.
익사사 드라이브 벨트의 국내 센터 주문 가격은 200,300원입니다. 또한 센터에서 교환 시 구동계를 열면 30,000원 정도의 공임이 들어갑니다. 즉, 벨트하나 갈려면 평균 230,000원 정도가 들어가는 거죠. (센터는 벨트 가격에서 돈 엄청 남기고 공임에서 또 남기는 구조입니다. - 모르면 호갱님 됩니다.)
그런데, 20만 원짜리 바이크코리아 익사사 드라이브벨트와 똑같은 품명의 제품(혹은 신형)의 직구 가격은 각종 비용 포함 평균 12~13만 원 정도 됩니다. 가끔 더 싼 것도 나옵니다. (직구사이트 : 대만빅스쿠터, 알리, 루텐, 이베이 등등)
만약 DIY로 벨트를 갈면 한 번 갈 때마다 10만 원 정도의 돈이 절약되는 거죠. 그렇게 타시는 동안 구동계 내부의 이런 저런 부품 교환 및 기타 소모품 교환을 고려하면 DIY는 일반적인 서민의 필수 선택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 자가 정비는 본인의 책임이 따르지만 그 책임 충분히 질만합니다.)
스쿠터 DIY를 위해서는 30~50만 원 정도의 공구 등의 초기 장비 구입비용이 들어갑니다만 잠깐만 생각해 봐도 DIY는 결국 남는 장사입니다. 구입한 장비는 두고두고 다른 용도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저는 장비 구입하고 1년 내에 장비 구입가 본전 뽑고 3배 정도의 비용을 절약한 것 같습니다. 물론 고민하고 검색하고 작업에 땀 흘린 것은 제외하고요. ^^)
일반적으로는 초기 공구 구입비 보다는 바이크 자가 정비에 필요한 지식이 부족하기도 하고 혹시나 잘못하여 더 큰 문제가 발생할 것을 두려워서 울며 겨자 먹기로 센터에 비싼 돈 주고 정비나 소모품 교환을 맡기는 경우가 대부분일겁니다.
집안 전구도 직접 못 교체하는 분들은 그냥 센터 이용하여야겠지만 집안 소소한 일거리 등은 직접 하시는 분들이라면 스쿠터 자가 정비는 그리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구글, 유투브, 카페/동호회 등에서 어렵지 않게 정비 지식과 기술을 얻을 수 있으며 해당 바이크/스쿠터 사용자 및 서비스 매뉴얼 등에 그 방법들이 자세하게 기술되어있습니다.
외국처럼 자가 정비가 일상화 되어서 이 카페에서 서로 서로 필요 정보를 늘 주고받을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국내 외산 제품 부품 판매가가 너무 부풀려 있으며 오토바이 센터에서 공임을 너무 후려치는 경우가 비일 비재하여 우리 고객들이 스스로 호갱님 됨을 피해야겠습니다. 물론 자가 정비로 할 수 없는 것들이 있기 때문에 정직하고 실력 있는 센터를 잘 찾아서 관리하는 노력도 필요할 거라 생각합니다.
ps) 참고로 부품 가격은 바이크코리아 소비자 판매 가격이 더 싼 경우도 가끔 있으니 항상 국내와 직구 가격을 정확한 품명으로 비교해 보셔야 합니다. 부품이 순정인지 사제품/대체품인지 확실히 구분하여 현명하게 구매하셔야합니다.